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홍보

[인터뷰] [사이버안보 비상등] "국정원·카이스트 협업…국가안보 방패 역할할 것"
구분 : 뉴스
작성일 : 2024-04-21
조회수 : 887

[사이버안보 비상등] "국정원·카이스트 협업…국가안보 방패 역할할 것"


■김창익 사이버안보연구소장 인터뷰

사이버공격 他안보와 결합땐 치명적

美 등 동맹국과 공조체계 강화 필요

양자컴퓨팅 등 신기술 대비도 시급


“국가정보원과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공동으로 설립한 사이버안보연구소는 국가 안보의 핵심으로 떠오른 사이버 안보 위협으로부터 첨병 역할을 할 사이버 분야 최고 인재 양성과 사이버 대응, 인공지능(AI), 양자 등 첨단 안보 기술 개발을 주도할 중추적 역할을 하게 될 것입니다.”

국정원이 주도해 설립된 사이버안보연구소 초대 수장인 김창익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 교수는 21일 국내 언론 중 처음으로 서울경제신문과 단독 인터뷰를 갖고 “특정 국가를 배후로 하는 국제 해커 조직의 무차별 사이버 공격이 다양한 안보 영역의 위협과 결합돼 발생하면서 사이버 위협의 파괴력은 말로 표현하는 수준을 넘어설 정도로 치명적”이라며 “국가 주요 기반시설의 정보 보호 체계 구축을 위한 정부 역할을 더 강화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사이버안보연구소는 최근 고도화된 사이버 안보 위협에 맞서 사이버 대응 기관의 역량 강화 필요성에 공감한 국정원과 KAIST가 3월 사이버 안보 분야 공동 연구 및 협력을 체결하고 설립했다.

김 소장은 “최첨단 기술의 정점인 사이버 안보 분야 특성상 두 기관의 협력은 오히려 늦은 감이 있다”며 “AI, 빅데이터, 양자 기반 암호화 등 최첨단 기술을 적극 활용해 사이버 국가 안보의 방패가 되겠다”는 포부를 드러냈다.

특히 현재의 사이버 안보 상황은 AI와 양자컴퓨팅·암호화와 같은 신기술 발달에 대한 대비책을 적극적으로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이를 위해 정부와 공공기관, 민간의 협력을 강화하면서도 이를 통합할 조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첨단 안보 기술을 선도적으로 개발할 필요성도 강조했다. 김 소장은 “주변 사이버 강국의 경제 상황과 정부 정책을 주의 깊게 분석하고 사이버 능력을 정확히 파악한 뒤 국제사회의 표준이 될 만한 첨단 안보 기술 개발이 시급하다”며 “동시에 미국 등 동맹국과 첨단 안보 기술의 긴밀한 공조 체계를 강화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했다.

그는 가장 서둘러야 할 사이버 대응으로 “첨단 AI 기술을 이용한 적대적인 대처”라고 꼽았다. 김 소장은 적대적 공격 기술을 막기 위한 적대적 방어 기술과 조작 또는 생성 영상을 탐지해 내는 허위 영상 탐지 기술, 딥페이크와 딥보이스 등을 이용한 보이스피싱 및 비디오피싱을 검출해 내는 탐지 기술 등을 예시로 들었다.

실제로 2월에 홍콩의 한 금융사에서 해커가 AI를 활용한 딥페이크로 회사의 최고재무책임자(CFO) 행세를 하며 2억 홍콩달러(341억 원)를 빼간 사건도 발생했다.

사이버안보연구소는 사이버 보안 인력 양성에도 팔을 걷어붙일 계획이다. 일명 사이버 안보 첨병인 ‘화이트해커’ 육성이다. 김 소장은 “지금은 이론적인 교육이 아니라 실제 현실에서 일어나는 각종 공격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실전적인 교육이 필요하다”며 “재능 있는 학생들이 사이버 안보 전문가로서 석박사 학위까지 문제 없이 마칠 수 있도록 학사 규정을 고치고 금전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을 계획”이라고 했다.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D7ZZE5KT9